분류 전체보기 (14)
티스토리 블로그 글 목록에 대하여

티스토리를 처음 개설한 후 계속 글을 쓰다가 맨 처음 작성한 글이 의미가 있겠다 싶어서 내가 쓴 처음 글의 숫자가 궁금해서 확인을 해보았었습니다. 그런데 분명 숫자가 1번이어야 하는데, 1번이 아님을 확인하게 되었습니다.

 

주소 체계

티스토리 블로그의 주소 체계는 숫자와 문자로 구성이 되어 있는데 필자는 처음부터 숫자로 사용해왔었고, 나중에 글이 1번부터 100번째 글, 1천번째 글이 의미가 있을 거 같아서 숫자로 사용을 해왔습니다.

포스트 주소 숫자 형식
포스트 주소 문자 형식

 

서식도 문서로 인식을 할까

글을 포스팅하는데 단순히 글만 쓰는 게 아니라 서식을 활용하시는 분들이 많이 계실겁니다. 블로그를 개설하고 바로 서식을 먼저 만든 후 글을 쓰게 되면, 서식과 글 관계없이 포스트 주소가 1부터 순서대로 부여가 된다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예제 입니다.

 

고객센터에 문의 결과

글을 하나도 안 쓴 상태에서 서식을 먼저 작성한 후 글을 썼을 때 처음 글인데도 포스트주소가 1이 아니고 순서가 밀리게 되어서 이유를 몰라 다음 고객센터에 서식이 아닌 가장 처음으로 쓴 글의 포스트 주소 숫자를 1로 돌릴 수 있는지에 대해서 문의를 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답변이 왔습니다.

답변과 같이, 서식이나 글이나 같은 주소체계이며, 어떤걸 먼저 작성하던간에 순서대로 주소가 부여되며, 글을 쓰다가 저장을 안하고 그냥 지우면 해당 글에 대한 포스트 주소는 없어지게 되며, 다음 번호로 부여가 됩니다.

예) 작성하던 글이 000.tistory.com/125 일 경우 지우게 되면 125번 주소는 이미 부여가 된 것이라,

새로 글을 써도 125번이 유지되는게 아니라 126번으로 됩니다.

  Comments,     Trackbacks
스크롤바 홈 버튼 만들기

블로그를 하실 때 기존의 블로그 스킨을 사용하시다 보면 홈버튼이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PC는 물론 모바일 등 각종 디바이스에서 글을 읽다가 쉽게 블로그 홈으로 이동할 수 있는 홈버튼 만드는 방법을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이미지파일 고르기

 

PNG파일

구글 이미지에 home png라고 입력하시면 아래와 같은 많은 그림들이 검색이 되어 나옵니다.

개인적으로 png파일은 배경이 없는 투명파일이라 스크롤바에 적용시키기엔 jpg파일보다 보기가 더 좋을 것입니다.

다양한 사이즈(픽셀)의 그림이 있는데 적당히 가로세로 64px사이즈의 이미지를 찾아야 하는데, 번거로우실까 제가 찾은 파일을 첨부 하도록 하겠습니다. 

home.png
0.00MB

 

파일 업로드 하기

블로그에 적용시키기 위해서는 나의 블로그에 파일이 있어야 합니다. 블로그 관리자모드로 접속 하신 후-스킨 편집-html 편집-파일 업로드에서 해당 파일을 업로드 하신 후 우클릭으로 링크 주소를 복사하여 별도의 메모장에 해당 주소를 따로 백업해 둡니다.

링크주소를 복사하여 메모장에 붙여넣을 경우 아래의 그림과 같은 형식인데 여기서 필요한 부분은 images~png까지 입니다. 

예제 입니다.

 

HTML 편집

 

우선, 첨부된 소스파일을 받아 메모장에 별도로 복사해 두시면 됩니다.

<a href="" id="gohome" style="display:scroll;position:fixed;bottom:70px;right:10px;z-index:99999999" title="Home"><img src="./images/home.png" border="0"/></a>

소스예제.txt
0.00MB

hefr=" " 부분에 본인의 블로그 주소를 입력하시고, img src=" " 부분에는 업로드한 파일-마우스 우클릭으로 복사한 이미지파일 경로를 입력하시면 되는데 image앞에는 반드시 ./  이 붙어야 합니다.

 

위와 같이 png파일을 업로드하셨다면 이제 html부분에서 소스를 입력하면 되는데 <head>와 </head>사이 빈 공간을 확보하여 그림과 같이 입력-적용을 하시면 됩니다.

 

실행 확인

 

순서대로 제대로 하셨으면 특정 게시판에 머물렀다가 홈버튼을 누를 경우 블로그 홈으로 이동하는 것을 확인하실 수가 있습니다.

<a href="" id="gohome" style="display:scroll;
position:fixed;
bottom:70px;              //스크롤바 기준 홈버튼 세로위치
right:10px;               //스크롤바 기준 홈버튼 가로위치
z-index:99999999" 
title="Home"><img src="./images/home.png" 
border="0"/></a>

 

홈버튼의 위치를 수정하고 싶으실 때, bottom은 스크롤바 현재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단으로부터 위로 얼마나 띄울것인가를 정하는 지정하며, right는 스크롤바 현재 위치로부터 왼쪽으로 얼마나 띄울 것인가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Comments,     Trackbacks
HTML과 CSS

티스토리 블로그를 시작하시거나 이용하시는 분들은 html과 css에 대해서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블로그를 예쁘게 꾸미는데 html과 css를 조금만 응용해도 얼마든지 내가 원하는 방향에 가깝게 예쁘게 꾸밀 수가 있습니다. 저 역시 티스토리 블로그 운영이 처음이고 초보자여서 가장 기초적이고 쉬운 설명으로 이해가 가기 쉽게 포스팅을 하려고 합니다.

 

HTML

HTML과 CSS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한 종류입니다. 그러나 프로그래밍 언어라고 하기보다는 페이지 기술 언어라 정의하는 편이 더 이해가 되겠습니다.

 

HTML(Hyper Text Marup Language/하이퍼 텍스트 마크업 언어)의 약자이며 웹사이트의 '콘텐츠'를 작성할 때 기본이되는 페이지 기술 언어입니다.

말 그대로 이용자께서 보고계시는 크롬이나 인터넷익스플로러 등의 웹페이지의 디자인이나 레이아웃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페이지에 표시할 요소나 구조 등을 기술할 수가 있습니다.

 

HTML의 특징은 파일명이 .html이며 메모장과 같은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 기본적인 텍스트 편집 프로그램에 원하는 소스를 작성한 후 티스토리 블로그-스킨편집-html편집-html에 입력하여 바로 적용시키고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CSS

 

CSS(Cascading Style Sheet/종속형 스타일 시트)의 약자이며 '스타일 시트'를 기술할 때 사용하는 언어입니다.

HTML보다 더 괜찮은 디자인으로 사용할 수가 있으며 역시 메모장과 같은 텍스트 편집 프로그램에 소스를 입력한 후 마찬가지로 html편집-CSS부분에 입력하여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파일 확장명은 .CSS입니다.

 

HTML이 기본뼈대라면, CSS는 좀 더 디테일하게 꾸밀 수가 있습니다.

 

HTML과 CSS의 차이

 

 

좀 더 이해가 가기위해서 동그라미를 구현하였을 때의 차이점을 비교하겠습니다.

 

HTML로 원을 만들었을 때

<div style="width:100px;height:100px;border:1pt
 solid #1DDB16;border-radius:50px;
filter:alpha(opacity=30);opacity:0.3;
background:#1DDB16;"></div>

 

HTML과 CSS로 원을 만들었을 때

HTML 부분
<div id="circle1">
</div>
CSS 부분
.circle1 {
background-color:#86efef;
width:150px;
height:150px;
border-radius:75px;
margin:0 auto;
vertical-align:middle;
line-height:150px;

차이점 : HTML로만 만들었을 때는 CSS없이 자체적으로 원을 표현하였으며, 두번째는 CSS에서 원을 표현하여 Circle1이란 이름을 부과하고, HTML에서 Circle1를 호출하여 표현하였습니다.

 

정리하자면 HTML은 콘텐츠의 구조와 의미를 정의하며, CSS는 스타일과 레이아웃을 지정합니다. CSS를 사용하여 콘텐츠의 글꼴, 색상, 크기 및 간격의 변경, 애니메이션 및 기타 효과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티스토리에서 HTML과 CSS는 소제목이나 인용구를 활용하여 글쓰기에 가독성을 높이는데 조금 더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활용을 한다면 충분히 글을 포스팅할 수 있다고 생각이 됩니다.

  Comments,     Trackbacks
5K/8K란 무엇일까요

 

컴퓨터의 모니터나 TV의 CF를 보시면 나오는 용어가 5K와 8K입니다. 이번의 포스팅에서는 그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모니터의 해상도

 

모니터나 TV의 화면은 화소(Pixel)라고 하는 수 많은 점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가로의 화소 수와 세로의 화소 수를 곱하기로 표현한 것이 해상도 입니다.

 

5K

K는 Kilo=1,000을 의미합니다. 

5K는 가로의 화소 수가 5000픽셀을 넘는다는 뜻인데, 일반 HD화면은 가로의 화소 수가 1280/ 풀 HD는 1920입니다.

이에 비해 기존의 4K의 화면은 가로X세로가 4096X2160정도입니다. 

5K는 가로X세로의 화소 수가 5120X1880정도에 이른다는 뜻입니다.

 

8K

8K의 해상도는 가로의 화소 수가 8000픽셀을 넘는다는 뜻이며 8192X4320 정도의 해상도 입니다. 

 

 

해상도와 화질의 관계

 

해상도가 아무리 높아도 빛이나 색이 제대로 구현이 되지 않으면 화질이 좋아 보이는 것은 아닐 것입니다.

사람의 시력이 아무리 좋아도, 생리학적으로 사람이 구별할 수 있는 명암의 단계는 한계가 있어서 초고화질의 명암비율을 구별하는 것은 힘들 것입니다.

 

마무리

 

프로페셔널한 고사양의 장비로 영상작업을 하지않는 이상 고화질의 해상도는 굳이 필요가 없다 생각됩니다. 

지금은 콘텐츠의 무한경쟁 시대입니다. 예전에 경제신문 오피니언 부분에서 읽었던 내용이 기억이 나는데, 고화질 화면 해상도의 경쟁은 무의미하고,  소비자의 니즈를 파악하여 얼마나 어떤 양질의 콘텐츠를 제공하느냐가 더 중요할 것입니다.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플랫폼이란 무엇인가  (0) 2020.04.20
혼합현실[Mixed Reality]  (0) 2020.04.20
g)그램)은 무게단위가 맞을까요  (0) 2020.04.20
JPG와 PNG차이  (0) 2020.04.20
조립식 컴퓨터 맞추는 법 - 메인보드  (0) 2020.04.20
  Comments,     Trackbacks
HTML로 글상자 만들기-[기본 박스]

티스토리로 글을 쓰고자 할 때 소제목이든, 인용구든 그냥 글만 쓰기에는 부족함이 있습니다. 그래서 CSS없이 HTML만으로 초간단 글상자 만드는 법을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초간단 박스

 

border 속성으로 테두리 만들기

<div style="border: 1px solid black; padding: 10px;">

 

안녕하세요 글 내용이 제대로 입력되는지 테스트 중입니다.

 

div라는 속성에 Style을 정의한다는 뜻인데, border은 테두리의 두께이며, solid black은 일반적인 검은 테두리를 정의한다는 뜻입니다. solid부분에 blue, yellow의 영어로 색을 표현할 수 있으며 영어 대신 html색상표(예: #000000)를 입력해도 적용됩니다.

 

점선과 도트 테두리

<div style="border:1px dashed; padding:10px;">
안녕하세요 점선 테두리 테스트 중입니다.
</div>

 

안녕하세요 점선 테두리 테스트 중입니다.

 

예: 파란색으로 변경은 dashed blue; 나  dashed #0054FF; 로 색 변경 가능합니다.

 

안녕하세요 점선 테두리 테스트 중입니다.

 

<div style="border:1px dotted; padding:10px;">
안녕하세요 도트 점선 테두리 테스트 입니다.
</div>

 

안녕하세요 도트 점선 테두리 테스트 입니다.

 

점선의 색 변경(예: 파란색) 역시 dotted blue; / dotted #0054FF; 로 변경 가능 합니다.

 

<div style="border: 1px dotted; border-radius: 5px; padding: 10px;">안녕하세요 테두리의 모서리 테스트 입니다.</div>

 

안녕하세요 테두리의 모서리 테스트 입니다.

 

border-radius: 5px 에서 px의 숫자를 조절하여 둥근 정도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티스토리 > 티스토리 Ti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롤바 홈 버튼 만들기  (0) 2020.04.20
HTML과 CSS  (0) 2020.04.20
CSS로 글상자 만들기-[모퉁이가 접힌 박스]  (0) 2020.04.20
소제목 서식 만들기  (1) 2020.04.20
첫 게시글  (0) 2020.04.20
  Comments,     Trackbacks
CSS로 글상자 만들기-[모퉁이가 접힌 박스]

티스토리 블로그의 장점은 내가 사용하는 스킨의 기본 틀 아래 글을 쓸 때 HTML과 CSS를 활용하여 레이아웃을 내 스타일대로 꾸밀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초반에 블로그를 시작할 때 어떤 블로그를 이용할까 고민하다가 티스토리 블로그를 선택하게 된 이유 중의 하나이기도 합니다.

HTML과 CSS를 잘 몰라도 조금만 검색하여 활용만하면 기존의 것도 내 스타일대로 조금은 바꿀 수 있다는 것입니다.

 

텍스트 상자가 필요한 이유

 

글을 쓸 때 거창하게 소설처럼 쓰지 않더라도 서론 본론 결론으로 나누어 쓰게 되는데 보통 [텍스트 상자가 필요한 이유] 처럼 서식을 활용한 소제목을 쓰게 됩니다. 그러나 소제목안의 글 내용도 분류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럴 때 단순히 숫자 1. 2. 3. 이라던가 a. b. c. 처럼 뭔가 단순하게 하는 것보다는 그래도 글상자를 활용하게 되면 덜 밋밋하게 됩니다.

 

텍스트 박스를 활용한 예제 입니다.

 

소스와 이용방법

 

우선 html의 소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우선 아래의 첨부파일을 받으시면 됩니다. 내용을 복사하여 블로그관리-서식쓰기-서식으로 저장하시면 되는데, 소스를 서식으로 저장할 때는 글쓰기 모드를 html로 변환시켜 저장하셔야 합니다.

 

<div class="note1">
<p>여기다 글을 쓰세요</p>
</div>

박스소스html.txt
0.00MB
박스소스css.txt
0.00MB

다음은 css의 소스입니다. 역시 첨부된 파일을 별도로 받으시면 됩니다. 소스의 내용을 복사하여 블로그관리-html편집-CSS탭에 빈 공간을 확보하여 입력-저장하시면 됩니다.  CSS내용 중 @font-face } 밑에 빈 공간에 입력하셔야 하는데, 만약 @font-face가 없으면 최상단 내용 중 @charset "utf-8"; 보다 밑에 빈 공간 {   } 부분을 피하고 입력하셔야 합니다.

 

.note1 {         //note1이란 이름을 변경하셔도 됩니다.
    position:relative;
    background:#B2CCFF;
    width:300px;
    max-width: 100%;
    text-align: center;
    padding: 12px;
    color:black;
    }

.note1:before {  //note1부분도 동일한 이름으로 변경하셔야 합니다.
    content:"";
    position:absolute;
    top:0;
    right:0;
    border-width:0 16px 16px 0; 
    border-style:solid;
    border-color: #FFFFFF #FFFFFF #0054FF #0054FF; 
    background: #0054FF; 
    display:block; width:0;   
}

 

TIP
 
 

css에서 note1부분의 이름을 변경하실 때 html의 div class=" "안의 부분도 동일한 이름으로 변경하셔야 소스를 호출할 수 있습니다.

 

[ 소스 내용 - note 1]

 background : 박스 배경색인데 html 색상표로 변경 가능합니다.

 widht : 박스 가로사이즈이며 숫자 부분을 변경 가능합니다.

 text-align : 글씨의 배열인데, left(왼쪽정렬)/right(오른쪽정렬)/justify(양쪽정렬) 입니다.

 color : 글씨 색입니다. blue/red 등으로 변경 가능합니다.

 

 [소스 내용 - note 1:before]

 border-color : 박스의 접힌 부분인데, #FFFFFF는 블로그 배경이 흰색이라 변경 안하셔도 됩니다.

     #0054FF(background와 함께) 박스 접힌 부분의 색인데, 변경 가능합니다.

 

활용 예제

 

먼저 블로그 관리자모드-스킨편집-html편집-css탭으로 이동하셔서 빈 공간을 확보하시면 됩니다.

 

빈 공간을 확보 후 css 소스를 입력 후 확인을 누르시면 됩니다.

 

새로운 글쓰기로 들어가신 후 - html모드로 변환하여 html 소스를 입력 후 글 쓰는 부분에 원하는 문구를 입력하신 후 완료를 누르시면 됩니다.

 

소스 입력 후의 화면

 

 

사용하시는 스킨과 폰트에 따라 달라보일 수가 있으며, 반응형으로 만들어져서 디바이스 화면에 따라 사이즈가 달라 보일 수 있습니다.

'티스토리 > 티스토리 Ti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롤바 홈 버튼 만들기  (0) 2020.04.20
HTML과 CSS  (0) 2020.04.20
HTML로 글상자 만들기-[기본 박스]  (0) 2020.04.20
소제목 서식 만들기  (1) 2020.04.20
첫 게시글  (0) 2020.04.20
  Comments,     Trackbacks
플랫폼이란 무엇인가

플랫폼(Platform)이란?

원래 플랫폼은 역에서 기차를 타고 내리는 곳을 의미하며 사람과 물자가 어떠한 목적을 가지고 이동하기 위해 기다리는 곳입니다. 4차산업시대에 접어들게 되면서 플랫폼은 컴퓨터 시스템 환경을 구축해 개방하여 누구나 다양하고 방대한 정보를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서비스의 의미로 통용되게 되었습니다.

모두에게 익숙하지만 좀 더 쉽게 이해하고 접근하기 위해서 포스팅을 하고자 합니다.

 

영상 플랫폼

 

지금까지 사람들은 뉴스나 드라마는 TV를 통해서, 영화는 영화관을 통해서 관람을 하고 시청을 해왔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영상과 동영상 플랫폼 서비스를 통하여 국내 드라마, 해외드라마와 동영상은 물론이고 인기있는 최신의 영화까지 플랫폼 서비스를 통해 안방과 스마트폰에서 모두 다 즐길 수 있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대표적 영상 플랫폼 서비스는 거대기업 넷플릭스, 디즈니플러스, 유튜브, 페이스북을 기본으로 국내에서는 네이버TV, 카카오TV, 웨이브 등이 있습니다.

 

 

OTT서비스

OTT(Over The Top)서비스는 TV셋톱박스를 의미합니다. 서비스 초반에는 셋톱 박스를 통해 케이블이나 위성방송 서비스를 제공하였으나, 인터넷의 발전과 이동통신의 발전으로 스트리밍 서비스가 가능해져 TV나 PC뿐 아니라 다양한 디바이스를 통해 서비스가 확장되었는데 대표적으로 넷플릭스 등이 있습니다.

 

 

공유 서비스

공유 서비스는 대표적으로 차량 공유가 있는데, 목적지가 같은 사람끼리 한 대의 차량에 탑승을 하거나 내가 소유한 차량에 요금을 받고 대여하여 승차하는 서비스를 뜻하는데 대표적으로 미국의 우버가 있습니다.

기사와 승객을 모바일 앱을 통해 목적지를 정하고 요금을 지불하여 이동하는 서비스 입니다.  

그리고 공유 숙박 서비스가 있는데 주거지 일부를 타인에게 빌려주는 서비스로, 대표적으로는 에어비앤비가 있습니다. 

 

온라인 플랫폼

온라인 플랫폼은 대표적으로 구글, 네이버와 같은 검색엔진 기반 플랫폼과 전자상거래 플랫폼, SNS 플랫폼 등이 있습니다.  검색엔진을 통하여 내가 검색하고자 하는 정보의 제공은 물론이고 다른 서비스로의 연결, 지도, 내비게이션, 위치 기반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전자상거래는 내가 필요한 물건을 PC나 스마트폰을 통하여 전세계적으로 구매 또는 판매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광고 플랫폼

광고 플랫폼의 대표적으로는 많은 블로거분들이 하고 계시는 구글의 애드센스라는 서비스 입니다. 

 

애드센스는 광고와 광고를 게재하는 블로그를 연결해주는 플랫폼인데 나의 회사나 제품을 홍보하기 위해서는 광고가 필요한데 그 광고를 애드센스에서 직접 하지 않고, 유튜브 또는 블로그를 통해서 광고하는 서비스입니다. 이용자들이 유튜브 동영상을 시청하거나 관심있는 내용에 대한 글을 블로그를 통해서 읽을 때 광고를 접하게 되는 서비스 제공 플랫폼이라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5K/8K란 무엇일까요  (0) 2020.04.20
혼합현실[Mixed Reality]  (0) 2020.04.20
g)그램)은 무게단위가 맞을까요  (0) 2020.04.20
JPG와 PNG차이  (0) 2020.04.20
조립식 컴퓨터 맞추는 법 - 메인보드  (0) 2020.04.20
  Comments,     Trackbacks
혼합현실[Mixed Reality]

4차산업혁명시대에 진입하고 있는 지금 영화나 애니메이션은 물론, 각 분야에서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의 활용도는 무궁무진합니다. 두 개에 대해서는 익히 많이 알려진 바에 비해 혼합현실(MR)에 대해서 잘 모르실 수도 있으신 분들을 위해 그 내용에 대해 포스팅 하고자 합니다.

 

가상현실(VR)

 

가상현실(Virtual Reality)이란 사람이 실제 체험할 수 없는 것에 대해서 가상의 세계를 만들어 실제와 같이 체험할 수 있는 기술을 뜻하는데, 체험을 하기 위해서 머리에 쓰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HMD를 활용합니다.

저의 기억으로는 대전엑스포 당시 3D안경을 쓰고 3D의 이미지를 체험하는 것이 있었는데, 그게 아마도 우리나라에 가상현실 기술이 도입되는 시기가 아니었을까 싶습니다.

 

 

HMD(Head Mounted Display)

HMD를 장착하여 오로지 눈 앞에 디스플레이를 통해 컴퓨터로 만든 가상의 화면 등을 보며 여러 체험을 하게 되는데 마이크, 스테레오 스피커 등 다양한 센서가 탑재가 되어있습니다. 스마트폰 패널을 활용하는 기기는 다이브라고도 하며, OTG젠더를 통해 스마트폰, 마우스, 손에 연결하는 외부기기를 통해 다양한 체험을 즐길 수가 있습니다.

 

 

증강현실(AR)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은 가상현실이 이미지나 주변 객체 등을 가상의 이미지로 보여지는 반면에 증강현실은 현실에 기반하여 정보를 추가(증강-Augmented)하는 기술인데 즉, 현실세계의 이미지나 배경에 가상의 이미지를 추가하여 보여주는 기술입니다.

 

 

네비게이션을 예를 들면 기존의 네비게이션은 지도상 경로만 보여주는 반면, 증강현실을 적용한 네비게이션은 실제 도로장면에 주행 정보를 추가합니다. 그리고 의류매장이나 홈쇼핑 등에서 직접 옷을 입어보지 않고도 연결된 디바이스를 통해 실제 내가 입어본 것같은 시스템이 구현이 되기도 하였습니다.

 

 

그리고  5G의 기술과 게임을 접목한 게임형태의 콘텐츠로도 개발이 되기도 하였습니다.

 

 

혼합현실(MR)

 

혼합현실(Mixed Reality)이란 VR과 AR의 장점을 융합하였는데 실제 환경의 객체에 가상으로 생성한 정보(그래픽, 소리, 냄새 등)을 실시간으로 혼합하여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는 기술입니다. 별도의 장비없이도 눈 앞에서 실제와 같은 가상의 현실을 접할 수가 있는 기술이 개발 되기도 하였습니다.

 

홀로렌즈

홀로렌즈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현실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기기이며 기존 VR용 HMD에 비해 더욱 진보한 기술과 HMD를 결합하여 만들었습니다. 현재까지 윈도우 10전용이며, 자신이 위치한 현재의 공간을 3차원 스캔할 수 있고 스마트폰이나 PC와 연결할 필요없는 단독 구동이 가능합니다.

 

 

활용분야

사람은 80%이상 시각에 의존하는데 혼합현실 기술 중 가장 활용분야가 높으며 헤드업 디스플레이, 홀로렌즈 등 시각활용 MR 기술이 많이 개발이 되고있습니다.

 

 

그리고 인간의 귀(고막)이 아닌 다른 방법을 통하여 소리를 전달하는 기술도 있으며, 촉각을 활용한 햅틱과 팁톡의 기술도 있습니다. 의료용 수술로봇 개발에서 촉각을 활용한 혼합현실이 등장하기도 합니다.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5K/8K란 무엇일까요  (0) 2020.04.20
플랫폼이란 무엇인가  (0) 2020.04.20
g)그램)은 무게단위가 맞을까요  (0) 2020.04.20
JPG와 PNG차이  (0) 2020.04.20
조립식 컴퓨터 맞추는 법 - 메인보드  (0) 2020.04.20
  Comments,     Trackbacks